switch to english
차례
  1.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 제이크 베이커 사건
    <시민과 변호사>, 1998년 4월호
  2. 인터넷 보안 - 해커와의 전쟁
    <시민과 변호사>, 1998년 5월호
  3. 에로티시즘과 포르노 - 규제와 자율의 갈림길에서
    <시민과 변호사>, 1998년 6월호
  4. 컴퓨터와 한글 - 우리말 살리기
    <시민과 변호사>, 1998년 7월호
  5. 인터넷 카메라 - 보여주고 싶어요
    <시민과 변호사>, 1998년 8월호
  6. 컴퓨터와 2000년 문제 - 세상 끝날?
    <시민과 변호사>, 1998년 9월호
  7. 인터넷과 한글 - 영어 모르면 문맹?
    <시민과 변호사>, 1998년 10월호
  8. 인터넷형 "번지내 투입" - 전자우편과 스팸
    <시민과 변호사>, 1998년 12월호
  9. 긴급진단 - 밀레니엄 버그
    <시민과 변호사>, 1999년 1월호
  10. 인터넷 주소 투기 - 앉으면 주인?
    <시민과 변호사>, 1999년 2월호
  11.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 무일푼으로 사는 세상
    <시민과 변호사>, 1999년 3월호
인터넷 카메라
보여주고 싶어요
<시민과 변호사>, 1998년 8월호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이색적인 장치 가운데 사람들의 흥미를 가장 많이 끄는 것은 아마도 카메라일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 주소록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야후(http://www.yahoo.com)에 등록되어 있는 항목을 살펴보면, 도로사정이라든지 우주, 애완동물, 바다 등 주위생활과 자연, 과학에 관한 내용을 보여주는 것도 꽤 있지만, 대부분은 개인의 사생활을 공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야후(http://www.yahoo.co.kr)에는 아직 이 부분에 대한 색인이 없다.
     엿보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자극하기 위해 자신의 침실이나 샤워실까지도 공개한 곳이 많이 있는데, 이런 곳은 대체로 접속료를 내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성행위 등 손님을 끌만한 행사를 연출하기 때문에 사실상 외설공연인 곳도 상당수 있다.
     또 탈의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한 "몰래카메라"도 있는데, 아마 대부분은 가짜인 듯하다. 그같은 웹사이트가 있으면 이내 소문이 나게 마련이고, 소문이 나면 손해배상 소송과 형사입건 등 문제가 커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이 합법적이냐 불법이냐 하는 문제와 외설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가 개입되면 논란의 여지가 많이 생겨난다. 최근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몇 가지 사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문제가 뉴스로 나온 일이 있다.
     웹 카메라가 있는 인터넷 사이트 목록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Random Internet Cameras"라는 이름이 붙은 미국 사이트 http://www.xmission.com/~bill/randcamera.html이다. 이 곳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7백 곳이 넘는 웹 카메라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한 가지 흠이라면 이름만 나와 있을 뿐 설명이 없다는 점이다. 이름을 보고 짐작하는 길뿐이다.
     웹 카메라는 대개 정지사진을 1분에서 5분 등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흔치 않은데, 가장 큰 이유는 비싸게 먹히는 인터넷 비용 때문이라 생각된다.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받아 주는 장치(컴퓨터 안에 설치하는 것으로 capture board라 한다)만 있으면 누구나 이런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이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화요금이 들고, 24시간 연결해 있으려면 요금이 엄청나게 들 것이다.
     웹 카메라를 유익하게 활용할 분야는 많이 있다. 한 가지 예로, 교통혼잡이 심각한 서울·부산 등 대도시 시경 교통국에서 주요 지점 도로사정을 인터넷에 카메라로 올려 두면 훌륭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자동차를 몰고 나서기 직전에 인터넷을 통해 도로사정을 확인함으로써 가장 사정이 좋은 경로를 고를 수 있을 것이다.

"원조"격인 제니캠
웹 카메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단연 제니캠(JenniCam)일 것이다. 홈페이지(http://www.jennicam.org)를 운영하는 주인인 제니퍼(Jennifer)는 프리랜서로 웹 디자이너 일을 하는 22세 여성으로서, 자신의 사생활을 고스란히 웹 카메라를 통해 인터넷에 공개해 놓았다.
     "잦은 질문에 대한 대답"(FAQ)에서 제니는 홈페이지에 쓸 자신의 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입했다고 설명하면서, 그 때 친구가 농담 삼아 어항을 비추는 용도로 써도 될 것이라 한 말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친한 친구 몇 명만이 접속했지만 이내 소문이 퍼져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경우에 따라 누드가 나오기 때문에 외설이지 않느냐는 주장도 있는데, 제니 자신은 실생활에는 누드도 포함되어 있다고 반박한다.
     제니캠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이트는 제니캠을 그대로 본떠 만든 웨스캠(WesCam - http://wescam.inline-design.com)이다. 주인공인 웨스는 남자인데, 이 곳에서는 주인공이 "제니보다 귀엽고, 누드도 없고," 회원/비회원 구분도 없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 주장한다. 웨스캠에 접속하면 컴퓨터 앞에 골똘한 표정으로 앉아 있는 남자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런 웹 카메라는 정지사진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내보내는 방식을 쓰고 있지만, 최근에는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곳도 등장하여 눈길을 끌고 있다. 근래에 이런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일거에 전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된 사건이 두 가지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출산장면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한 것과 나이 어린 처녀총각이 자신의 첫경험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하겠다고 한 사건을 들 수 있다.

인터넷 출산
화제의 주인공은 엘리자베스 앤 올리버(Elizabeth Ann Oliver)로서, 아들 숀(Sean)을 출산하는 장면이 미국 플로리다 주 아놀드 파머 아동·여성병원(Arnold Palmer Hospital for Children & Women)에서 현지시간으로 지난 6월 16일 오전 여섯 시부터 인터넷과 케이블 TV를 통해 "Live Internet Birth"라는 제목으로 방영됐다. 이 광경을 지켜보기 위해 전세계에서 너무 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접속한 나머지 화면이 가끔씩 정지되기도 하여, 방송중에 진행자가 케이블 TV로도 방영되고 있다고 안내해 주기도 했다.
     이 행사는 미국 보건 네트워크(American Health Network: AHN)에서 주관했는데, AHN의 "Ask The Family Doctor" 프로그램 진행자인 월터 래리모어(Walter Larimore)가 진행과 해설을 맡았다.
     분만실에는 엘리자베스와 의사, 간호사뿐 아니라 남편 길버트(Gibert), 엘리자베스의 세 아이 등이 참석했다. 방송은 시종 편안하고 느긋한 분위기에서 진행됐고, 교육적이면서 기술적인 부분이 적절히 배합된 수준 높은 내용이었다.
     아기는 현지 시간으로 16일 오전 10시 40분 경 태어났다. 몸무게는 3.4kg이고, 탯줄은 아버지 길버트가 잘랐다. 아기가 태어나는 순간 해설자 래리모어는 이렇게 말했다. "Here comes Sean's head. He has a lot of hair on his head."(숀의 머리가 나옵니다. 숱이 많습니다.)
     의사들은 엘리자베스가 이미 세 번 순산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 행사에 가장 적합했다고 한다. 엘리자베스 본인은 초산을 앞둔 산모들을 위해 실제 출산과정을 알려주고 싶어서 이 행사에 참여했다고 한다.
     출산은 순조로웠지만 인터넷을 통한 방송은 그리 순조롭지 못했다. 방송이 나간 미국 보건 네트워크 홈페이지(http://www.ahn.com) 서버는 미국 전역에서 최고 1만 명 정도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정도였으나, 미국 동부에서만도 적어도 3만 명, 전세계에서 약 5만 명 정도가 방송 시작 1시간 이내에 접속을 시도했다. 접속하기도 어려웠거니와 접속이 된 뒤에도 화면이 그다지 선명하지 못했고 음질은 더욱 나빴으며, 어떤 때에는 동영상이 아닌 정지화면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방송을 비교적 무난하게 지켜본 사람은 대략 5천 명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행사 진행을 맡은 측에서는 이번 출산이 인터넷 최초라 주장하지만 반론이 없는 것은 아니다. 미국 콜로라도 주의 태미 반즈(Tammy Barnes)는 지난 2월 아들을 출산할 때 이미 인터넷을 통해 출산광경을 공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청자는 150명 가량으로 주로 가까운 친구들이었다고 한다.

hotissues_webbirth.jpg
생중계된 인터넷 출산

     이번 출산중계 방송 동안 출산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방송을 중단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별다른 문제는 없었다. 이 방송 자료는 미국 보건 네트워크 홈페이지에서 리얼무비(RealMovie)라는 파일 형식으로 언제든지 전송받아 볼 수 있다. 상영시간은 5시간 22분 정도이다. 본 기사에 실린 비디오 화면은 모두 이 곳에서 전송받은 것이다.
     이번 인터넷 출산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아래 야후 사이트를 통해 얻을 수 있다.

    http://headlines.yahoo.com/Full_Coverage/US/Web_Birth
     행사의 주인공 엘리자베스는 그 뒤 다시금 화제에 올랐는데, 이번에는 1991년에 350달러 가량의 부정수표를 사용한 혐의를 포함하여 아홉 가지 범법행위로 지난 7월 1일에 구속되었다가, 같은 날 저녁에 보석금 9천 달러를 내고 석방된 것이다.
     처음 인터넷 출산계획을 발표했을 때에는 산모 이름이 엘리자베스라고만 알려져 있었는데, 그 보도를 접한  경찰이 수배자와 엘리자베스가 비슷한 데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가, 생중계 동안 동일인임을 알아차린 것이다. 남편 길버트 역시 가석방 위반 때문에 수배되어 있었다.
     엘리자베스는 나중에 설명하기를, 가명을 사용할 수도 있었겠지만 산통 중에 남편의 가명을 어떻게 기억하겠느냐고 털어놓았다.

사기극으로 끝난 인터넷 "첫경험"
지난 7월 15일, 로이터 통신에서 터져나온 뉴스 때문에 인터넷 출산에 이어 세계가 다시 한번 떠들썩했다. 18세 청소년 둘이 자신의 첫 성경험을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에 무료로 공개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마이크"와 "다이앤"이라는 이름만 밝힌 이들은 8월 4일 오후 9시(한국시각 4일 오전 11시) 인터넷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두 사람이 서로 순결을 바치는 광경을 "우리 첫 경험"이라는 이름의 웹페이지(http://www.ourfirsttime.com)에서 생중계하겠다고 했다.
     스스로를 "우리 첫경험" 웹 페이지 제작자라고 소개한 오스카 웰즈(Oscar Wells)는 홈페이지에 수록된 인사말에서 이번 행사를 기획한 계기를 이렇게 설명한다. 최근에 인터넷을 통해 출산장면 생중계를 본 뒤 인터넷 출산을 주제로 한 어느 인터넷 대화실에 들어간 적이 있는데, 그 곳에서 다이앤이라는 여자가 "사람들은 대부분 인터넷 출산을 보고 아름다웠다고 생각하면서도 출산의 첫 단계인 아기를 갖는 장면은 음란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라며, 자신은 "그것 역시 아름답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다면 '순결'도 바칠 수 있다"고 하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전자우편을 통해 다이앤에게 접촉했고, 얼마 뒤 다이앤과 그녀의 남자친구 마이크와 셋이 함께 만났다. 한동안 논의가 오간 끝에 이들은 그 뒤 18일간 전세계 사람들이 두 사람의 행로를 하루하루 밟아가도록 하자는 데에 의견을 모았고, 그래서 최종 실행일자를 8월 4일로 잡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리 첫 경험" 홈페이지에는 토론실도 마련되어 있는데, 접속한 사람들의 의견 가운데에는 나중에 유료 서비스로 바뀔 것이라는 예측도 있고 광고를 끌기 위한 수단이라는 비난도 있었다. 그리고 화제의 주인공인 두 남녀가 18세라 보기에는 너무나 성숙해 보인다는 지적도 있었다. 도덕기준이 높은 어떤 해커는 이 웹사이트를 부숴버리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 어쨌든 이 사이트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61%는 두 사람의 성행위 공개가 무방하다 했고 38%는 반대했다.
     다이앤과 마이크의 대변인인 마크 베가(Mark Vega) 변호사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모든 주장에 대해 단호하게 아니라고 주장했다. 신변보호를 위해 본명과 거주지는 밝힐 수 없어도 그가 알기로 두 사람은 분명한 처녀총각이며, 성실히 교회에 다니는 우수한 학생으로, 이번 가을학기에 대학에 진학할 것이라고 했다. 또 홈페이지에 Condomania라는 콘돔 회사 광고가 있기는 해도 광고료를 주고받는 일은 없다고 했다.
     "우리 첫 경험"에 대한 보도가 있은 다음 날, 인터넷 사용자들의 접속건수가 너무 많아져 대다수는 "우리 첫 경험"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없었다. 베가 변호사는 가장 큰 문제가 수많은 접속요구를 해소할 수 있도록 서버를 확충하는 일이라 했다. 잠시 접속할 수 있었던 어떤 사람은 한동안 그 곳에는 성인용 영화나 성 관련 보조기구를 살 수 있는 가게로 연결되는 링크가 여럿 나타나 있었다고 했는데, 이에 대해 베가 변호사는 만일 그런 일이 있었다면  해커 소행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7월 17일, 이 사이트에 컴퓨터 장비를 납품하기로 한 한 회사가 '이번 행사는 수백만 인터넷 사용자들을 속이기 위한 사기극'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미국 시애틀에 있는 Internet Entertainment Group (IEG)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이번 행사에서 주최측은 "방문객이 성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방문객당 5 달러씩 수수료를 부과할 계획이었다. 또 행사 당일인 8월 4일에는 두 사람이 "아직 마음의 준비가 안 되었다"는 이유를 내세워 실행에 옮기지 않을 계획이었다.
     그리고 IEG 사장에 따르면 행사를 조직한 켄 팁튼(Ken Tipton)이 자신과 전화 통화 도중에 60년 전에 있었던 오슨 웰리스(Orson Welles)의 라디오 드라마 [화성침공]War of the Worlds보다도 더 많은 사람들을 속여보겠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60년 전 당시 라디오 드라마를 듣고있던 수백만 미국인은 하도 실감나는 효과음 때문에 실제로 화성인이 뉴저지를 침공했다고 믿은 사건이 있었다. 팁튼은 올해가 그 드라마의 60주년이기 때문에 그같은 사기극을 꾸민 것이라 말했다고 한다.
     IEG는 배우 파멜라 앤더슨과 록 가수 토미 리의 성행위 테이프를 온라인상에서 판매한 회사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번 행사를 위해 계약한 지 하루만에 "주최측의 의도가 의심스러워" 계약을 파기했다고 한다.
     변호사 베가는 언론의 자유와 관련하여 맡은 몇 가지 사건 때문에 로스 앤젤리스 법조계에서는 비교적 이름이 알려진 인물로서, 이번 사건은 사기극이 아니라 인터넷상에서 언론의 자유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라 주장했다.
     결국 이 사건은 인터넷상에서 두 사람이 순결을 서로에게 바치는 것이 아니라 성난 기자들이 가득한 어느 콘돔 가게 안에서 열린 기자회견으로 끝났다. 지난 7월 22일, "마이크"와 "다이앤"은 18세도, 처녀·총각도 아니며, 함께 성관계를 가질 계획도 없었지만 동기 하나만은 순수했다고 말했다. 마이크는 앨라배마 주 출신인 타이 테일러(Ty Taylor, 23세)이며, 다이앤은 나이는 밝힐 수 없지만 텍사스 주 출신인 미셀 파마(Michelle Parma)임을 밝히고, 이번 행사로 안전한 성관계와 절제에 대해 교훈을 남기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개인적인 욕심도 없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테일러는 할리우드로 갓 이사온 뒤 단역으로만 등장한 무명배우였고, 파마는 테일러보다는 좀 더 성공한 배우이지만 배우보다는 웨이트리스로 일한 경력이 더 많았는데, 이번 행사를 계기로 유명세를 타게 되기를 바랬다고 했다.
     "우리 첫 경험" 홈페이지에서 오스카 웰즈라는 이름을 사용했음이 드러난 영화 제작자 켄 팁튼은 기자회견장에서 형형색색의 콘돔이 진열되어 있는 벽 옆에 전혀 동요되는 기색 없이 앉아 있었다. 기자들이 "사기꾼"과 "거짓말쟁이"라 소리칠 때 그는 "그저 흔한 드라마였을 뿐"이라 대꾸하면서, 자신은 그 드라마에서 오스카 웰즈 역을 했을 뿐이라 말했다. 그저 "누군가가 나발을 불었기" 때문에 끝까지 연출해내지 못한 드라마라는 것이다.
차례
  1.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 제이크 베이커 사건
    <시민과 변호사>, 1998년 4월호
  2. 인터넷 보안 - 해커와의 전쟁
    <시민과 변호사>, 1998년 5월호
  3. 에로티시즘과 포르노 - 규제와 자율의 갈림길에서
    <시민과 변호사>, 1998년 6월호
  4. 컴퓨터와 한글 - 우리말 살리기
    <시민과 변호사>, 1998년 7월호
  5. 인터넷 카메라 - 보여주고 싶어요
    <시민과 변호사>, 1998년 8월호
  6. 컴퓨터와 2000년 문제 - 세상 끝날?
    <시민과 변호사>, 1998년 9월호
  7. 인터넷과 한글 - 영어 모르면 문맹?
    <시민과 변호사>, 1998년 10월호
  8. 인터넷형 "번지내 투입" - 전자우편과 스팸
    <시민과 변호사>, 1998년 12월호
  9. 긴급진단 - 밀레니엄 버그
    <시민과 변호사>, 1999년 1월호
  10. 인터넷 주소 투기 - 앉으면 주인?
    <시민과 변호사>, 1999년 2월호
  11.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 무일푼으로 사는 세상
    <시민과 변호사>, 1999년 3월호
저작권 (저) 1997-2024, 권루시안Creative Commons License